헤드라인뉴스(634)
-
2025년 3월 5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+ 신문을 통해 알게된 것들
★★03월 05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《경 제》☞캐·멕 25%·中 10% 관세…車·가전 '비상' 중간재 수출 21.7억달러↓...멕시코 생산기지 삼성·LG·기아 직격탄...상호관세 품목 '촉각'…대미수출 '반사이익' 총수출 2.2억달러↓☞“계엄 때문에 연말소비 줄었다” 해놓고…한 달만에 말 바꾼 엉터리 통계청...작년 12월 계엄 여파에 소매판매 감소했다더니...한 달 만에 0.2% 증가했다고 번복...가중치 갱신 등 보정탓이라지만 가뜩이나 살얼음판 소비심리 위축 부추길수도☞보호무역 핑퐁게임에 갇힌 한국 철강...반덤핑 제소 ‘딜레마’...반덤핑 제소 본격화…업계 공조 속 이해관계 엇갈려...한·중 통상 마찰 우려 확산…정부·기업 균형점 ‘고민’☞'金징어' 된 오징어...이젠 마리당 '1만원 시대'....
2025.03.05 -
2025년 3월 4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+ 신문을 통해 알게된 것들
★★03월 04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《경 제》☞지방 인구 소멸 가속화… 기초지자체 5곳 중 1곳, 출생아 100명 이하...지난해 17개 광역시·도 산하 264개 기초자치단체 중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인 지역은 총 52곳으로 집계☞"빚 2억인데 한 달에 75만원 벌어요"…20대 몰려간 온라인 쇼핑몰 폐업 속출...가장 수익성이 낮은 업종은 정보통신업으로 업체당 평균 영업이익이 연 900만원☞'관세' 탈출구 연 안덕근 산업장관…제시한 회심의 카드는...韓 기업, 대미 투자 확대 제시한 듯…방미 전 현대차경영진 회동...安 "美 군함·유조선·쇄빙선 패키지 주문 시 韓 우선 제작 납품"☞미국 관세 협상카드는 'K조선'…한국에 손 내미는 이유는?...조선업 생태계 무너진 미국, 군함마저 중국에 ..
2025.03.04 -
2025년 3월 3일 신문을 통해 알게된 것들 +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
2025년 3월 3일 신문을 통해 알게된 것들 1. 표 앞엔 장사 없다... 野도 與도 현금살포? → 국민의힘, 기초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 1인당 25만원~50만원 추진 자 270만명, 최소 6750억원, 최대 1조3500억원 예산 소요... 앞서 민주당은 전국민 1인당 25만원(총13조) 주장.(세계) 2. 트럼프-젤렌스키 충돌은 트럼프의 기획? → 뉴욕타임스는 이번 충돌이 즉흥적인 감정 폭발인지 아니면 트럼프의 기획한 공개 망신 주기인지 의문이 남아 있다고 보도. 한편 젤렌스키는 회담 전 전 트럼프 측근인 린지 그레이엄 공화당 상원의원을 만났는데 그는 ‘안보 협정에 대해 논쟁하지 말라. 미끼를 물지 말라’고 조언했다고.(국민)‘ 3-1. GG세대(Grand Generation)’ → 은퇴를 앞두..
2025.03.03 -
2025년 3월 1일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
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(매-세-지, 3월 1일)1. 미국 정부가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알루미늄 연선과 케이블에 대해 반덤핑관세 52.79%, 상계관세 33.44%를 부과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. 대원전선, 가온전선 등 국내 금속기업들이 중국의 대미 우회수출로 역할을 했다는 판단입니다.2.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부과시기를 3월 4일로 못박으면서 아시아 증시가 크게 하락했습니다. 코스피는 전일 대비 3.39% 하락, 코스닥은 3.49% 하락했습니다.3. 네이버가 3월 중으로 기존 배송 서비스 ‘네이버도착보장’을 ‘네이버배송’으로 새롭게 브랜딩하기로 했습니다. 배송 항목을 오늘배송, 내일배송, 일요배송, 희망일배송 등으로 세분화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전략입니다.4. 더..
2025.03.01 -
2025년 2월 28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+ 신문을 통해 알게된 것들
★★02월 28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《경 제》☞작년에 이어 또 돌아온 ‘관리비 폭탄’… 32개월 만에 60% 오른 난방비...전기·가스료 물가 3년 사이 40% 이상 상승...커진 가계 부담에 추가 공공요금 인상 쉽지 않을 듯☞작년 자동차 구입 '-10.4% 급감'…단체여행은 30% 급등...지난해 ‘자동차 구입’ 10% 넘게 줄어···4분기는 -29% 급감...음식·숙박·오락문화는 늘어···“보복소비 영향 여전”...단체여행비 1년 전보다 29.8% 급등···여행 수요 회복...“고물가·월세 부담 지속···올해도 내구재 소비 위축될 듯”☞서민 가구 근로소득 4.3% 줄었다…5년 만에 최대 폭 감소...1분위 근로소득 3분기 연속 감소세…"고령 가구 유입 영향"...5분위 가구 소득 늘었지만 지출 줄..
2025.02.28 -
2025년 2월 27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+ 신문을 통해 알게된 것들
★★02월 27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《경 제》☞내수 어려워도 해외여행은 간다…카드 해외 사용액 '역대 최대'...지난해 카드 해외 사용액 31조원…전년보다 13%↑...체크카드 38%·신용카드 5%↑…"해외여행·직구 증가 영향"☞“월급 빼고도 年 2,000만 원?”.. 80만 명은 더 버는데, 나만 건보료 더 낸다...이자·배당·임대소득 연 2,000만 원 넘는 직장인 급증...건보료 부담 커지며.. ‘소득 양극화’ 논란 가열...5년 새 부수입 직장인 4배 증가.. 형평성 문제 불거져☞작년 출생아 8000명 이상 증가…부산도 234명 늘었다...30대 초반인구 늘고 코로나 이후 결혼증가...합계출산율 0.75명, 전년보다 0.03명 올라...부산은 1만 31000명 출생, 증가율은 낮아☞보..
2025.02.27